'달걀 난각번호'란 계란 껍데기 표면에 찍혀있는 번호를 의미합니다. 난각번호는 총 10자리 숫자와 알파벳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난각번호를 보면 계란의 산란일, 생산고유 번호, 사육환경 번호 및 산란일을 알아낼 수 있습니다.
한국인의 1인당 연평균 계랸 소비량은 11.2kg로 집계되며, 계란 1개가 50g인 것을 감안하면 연간 224개를 섭취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 수치를 보면 달걀은 한국인이 자주 접하는 식재료인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자주 접하는 음식재료인만큼 난각번호를 확인하고 어떤 달걀을 살 것인지 꼼꼼히 따져보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러면 반찬, 음식, 디저트에 들어가며, 이제는 우리 밥상에 없을 수 없는 재료가 된 달걀 난각 번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 달걀 난각번호 읽는법 - 달걀 난각번호 1번 2번 3번 4번의 의미 - 달걀 난각번호 읽는법 활용 - 마무리 |
달걀 난각번호 읽는법
달걀 난각번호는 총 10자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이 구분해서 읽을 수 있습니다.
- 왼쪽에서부터 4자리 : 산란일
- 왼쪽에서부터 5자리 : 생산자의 고유 번호
- 왼쪽에서부터 1자리 : 사육 환경 구분 번호
생산자의 고유 번호는 식품안전 나라 사이트에서 농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달걀 난각번호 1번 2번 3번 4번의 의미
난각번호의 맨 마지막 1자리로 닭 사육 환경을 구분할 수 있으며 1번부터 4번까지 있습니다.
- 1번 : 방목장에서 1.1㎡ 당 한 마리 사육할 경우 부여되는 번호 (0.33평)
- 2번 : 축사 내 개방형 케이지에서 0.1㎡ 당 한 마리 사육할 경우 부여되는 번호 (0.03평)
- 3번 : 개선된 케이지에서 0.075㎡ 당 한 마리 사육할 경우 부여되는 번호 (0.02평)
- 4번 : 기존 케이지에서 0.05㎡ 당 한 마리 사육할 경우 부여되는 번호 (0.015평)
달걀 난각번호 읽는법 활용
달걀 난각번호 읽는법을 활용해 제가 '내돈내산'으로 구매한 달걀로 난각번호를 읽어보겠습니다.
달걀의 난각번호는 1021GGKUF2입니다.
달걀 난각번호 읽는 법에 따르면 이 달걀은 10월21일에 산란되었으며 생산자의 고유 번호는 GGKUF고 사육환경은 축사 내 개방형 케이지에서 사육된 닭이 산란한 달걀입니다.
식품안전 나라 웹사이트에서 고유 번호 검색해 보니 농가명이며 인허가일자, 사업자명, 농가 주소가 나왔습니다.
마무리
오늘은 달걀 난각번호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앞으로 어떤 달걀을 구매해야 하는지 도움을 주는 중요한 정보라고 생각이 됩니다. 다만 아쉬운 점이 있다면 아직까지 한국에서는 많은 상품이 포장지로 밀봉되어 있어 달걀 겉면에 표시되어 있는 숫자를 확인할 수 없어서 소비자가 난각번호를 확인하는 어려움을 갖고 있습니다. 식품의약안전처에 따르면 포장재를 바꾸는데 농가가 비용을 부담해야 해서 농가가 표시 방법을 바꿀 때까지 기다릴 수밖에 없다고 합니다. 반면에 제가 유럽에서 살았을 때는 달걀 난각번호가 달걀 껍데기 및 포장재에 표시되어 있어서 쉽게 달걀을 선택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됐었는데 한국에서도 달걀 껍데기에도 포장재에도 난각번호가 표시되는 날이 빨리 오면 좋겠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신준비] 임신 전 관리 및 검사 방법 (6) | 2024.09.02 |
---|